Skip to content
DarkKaiser의 블로그
DarkKaiser의 블로그
  • 개발 관련 자료(노션)
  • Raspberry Pi(노션)
  • WD My Cloud(노션)
  • GitHub
DarkKaiser의 블로그

윈도우 7 프로그래밍 – 2

DarkKaiser, 2010년 6월 7일2023년 9월 5일

1. 썸네일 툴바(Thumbnail Toolbar)

아래와 같은 썸네일 툴바를 추가해보자.

우선 프로그램 시작시에 OLE를 초기화하도록 한다. ::InitInstance() 에 넣으면 좋겠다.

CoInitialize(NULL);

이 후 전역변수를 선언하여 태스크바 버튼 생성 메시지를 등록한다.

static UINT s_uTBBC = ::RegisterWindowMessage(L"TaskbarButtonCreated");

등록한 이후에 이 메시지를 받기 위한 이벤트 핸들러를 선언한다.

ON_REGISTERED_MESSAGE(s_uTBBC, OnTaskbarButtonCreated)

LRESULT CMyDlg::OnTaskbarButtonCreated(WPARAM, LPARAM)
{
   ITaskbarList3 *pTaskbarList;
    HRESULT hr = CoCreateInstance(CLSID_TaskbarList, NULL, CLSCTX_INPROC_SERVER, IID_PPV_ARGS(&pTaskbarList));
    if (SUCCEEDED(hr))
    {
        hr = pTaskbarList->HrInit();
        if (SUCCEEDED(hr))
        {
            // Figure out what bitmap to use for the thumbnail toolbar buttons - we
            // make the decision based on the system's small icon width. This will make
            // us DPI-friendly.
            struct
            {
                PCWSTR pbmp;
                int cx;
            }
            const bitmaps[3] =
            {
                { MAKEINTRESOURCE(IDB_BUTTONIMAGES_96),  16 },
                { MAKEINTRESOURCE(IDB_BUTTONIMAGES_120), 20 },
                { MAKEINTRESOURCE(IDB_BUTTONIMAGES_144), 24 }
            };

            int const cxButton = GetSystemMetrics(SM_CXSMICON);

            int iButtons = 0;
            for (int i = 0; i < ARRAYSIZE(bitmaps); i++)
            {
                if (bitmaps[i].cx <= cxButton)
                {
                    iButtons = i;
                }
            }

HIMAGELIST himl = ImageList_LoadImage(AfxGetInstanceHandle(), bitmaps[iButtons].pbmp,
                bitmaps[iButtons].cx, 0, RGB(255,0,255), IMAGE_BITMAP, LR_CREATEDIBSECTION);
            if (himl)
            {
                hr = pTaskbarList->ThumbBarSetImageList(GetSafeHwnd(), himl);
                if (SUCCEEDED(hr))
                {
                    THUMBBUTTON buttons[3] = {};

                    // First button
                    buttons[0].dwMask = THB_BITMAP | THB_TOOLTIP | THB_FLAGS;
                    buttons[0].dwFlags = THBF_ENABLED | THBF_DISMISSONCLICK;
                    buttons[0].iId = IDTB_BUTTON1;
                    buttons[0].iBitmap = 0;
                    StringCchCopy(buttons[0].szTip, ARRAYSIZE(buttons[0].szTip), L"Button 1");

                    // Second button
                    buttons[1].dwMask = THB_BITMAP | THB_TOOLTIP | THB_FLAGS;
                    buttons[1].dwFlags = THBF_ENABLED | THBF_DISMISSONCLICK;
                    buttons[1].iId = IDTB_BUTTON2;
                    buttons[1].iBitmap = 1;
                    StringCchCopy(buttons[1].szTip, ARRAYSIZE(buttons[1].szTip), L"Button 2");

                    // Third button
                    buttons[2].dwMask = THB_BITMAP | THB_TOOLTIP | THB_FLAGS;
                    buttons[2].dwFlags = THBF_ENABLED | THBF_DISMISSONCLICK;
                    buttons[2].iId = IDTB_BUTTON3;
                    buttons[2].iBitmap = 2;
                    StringCchCopy(buttons[2].szTip, ARRAYSIZE(buttons[2].szTip), L"Button 3");

                    // Set the buttons to be the thumbnail toolbar
                    hr = pTaskbarList->ThumbBarAddButtons(GetSafeHwnd(), ARRAYSIZE(buttons), buttons);
                }
                ImageList_Destroy(himl);
            }
        }
 
        // It's OK to release ITaskbarList3 here; the thumbnail toolbar will remain.
        pTaskbarList->Release();
    }

return 0;
}

비스타 이후의 운영체제에서 WM_COMMAND, s_uTBBC 메시지를 외부에서 받기 위해 아래처럼 프로그램이 초기화될 때 등록하도록 한다.

ChangeWindowMessageFilter(s_uTBBC, MSGFLT_ADD);
VERIFY(ChangeWindowMessageFilter(WM_COMMAND, MSGFLT_ADD));

이 후 각각의 썸네일 버튼이 클릭되었을 때 처리되어져야 할 이벤트 핸들러를 작성하면 된다.

ON_CONTROL(THBN_CLICKED, IDTB_BUTTON1, &CMyDlg::OnThbnClicked)

void CMyDlg::OnThbnClicked()
{
    AfxMessageBox(_T("클릭되었음"));
}
C/C++/VC++

글 내비게이션

Previous post
Next post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최신 글

  • AssertJ 소개testCompile ‘org.assertj:assertj-core:3.6.2’ 2017년 9월 14일
  •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3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2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1 2017년 9월 14일

최신 댓글

    카테고리

    • 개인 자료 (1)
      • 일기 (1)
    • 주절주절 (7)
    • 프로그래밍 갤러리 (16)
    • 프로그래밍 언어 (186)
      • Java (29)
      • C/C++/VC++ (114)
      • C# (11)
      • Visual Basic (6)
      • 안드로이드 (9)
      • Objective-C (5)
      • JavaScript (4)
      • JSP/Servlet (2)
      • Python (4)
      • 어셈블러 (1)
    • 개발++ (44)
      • Book (11)
        • Joel On Software (10)
      • 프로젝트 관리 (6)
      • Maven (1)
      • 디버깅 (1)
      • DirectX (1)
      • Silverlight (1)
      • RESTful (1)
      • Hacking (1)
      • WDM (4)
      • VoIP (5)
      • 기타 (1)
    • 개발 도구 (15)
      • eclipse (14)
      • Sublime Text (1)
    • 네트워크 (7)
    • 설치 및 배포 (7)
      • InstallShield (2)
      • NSIS (4)
    • 버전 관리 (9)
      • Git (2)
      • CVS (2)
      • Subversion (5)
    • 데이터베이스 (7)
      • Oracle (3)
      • Sybase (2)
      • MS-SQL (2)
    • 단위테스트 (3)
      • JUnit (1)
      • NUnit (2)
    • 버그추적시스템 (2)
      • mantis (2)
    • 운영체제 (7)
      • Windows (5)
      • 리눅스 (2)
    • WAS (3)
      • WebLogic (3)
    • 디자인패턴 (1)
    •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16)

    태그

    ArrayList ATL BMP CAB CAB 파일 CD-ROM COM DCOM Downcasting for each GetLastError() Java JDT JoelOnSoftware Lokbok netsh NUnit Python StringBuilder Subverion SVN TR1 unicows Upcasting WAVE weak_ptr WebClient Wrap 내장 객체 레이아웃 리소스 리팩토링 마우스 문자 스트림 바이트 스트림 배포 비스타 빌드 서브클래싱 스트림 시스템 에러메시지 오피스파일구별 임시파일 지역클래스 타입 라이브러리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2025 DarkKaiser의 블로그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