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arkKaiser의 블로그
DarkKaiser의 블로그
  • 개발 관련 자료(노션)
  • Raspberry Pi(노션)
  • WD My Cloud(노션)
  • GitHub
DarkKaiser의 블로그

[년도:] 2009년

WDF 드라이버 개발하면서 Visual Studio 2008 intellisense 사용하기

DarkKaiser, 2009년 2월 8일2023년 9월 4일


위 화면 처럼 Intellisense가 참조할 경로를 입력만 해주면 됩니다.

Include Search Path : C:\WinDDK\6000\inc\ddk;C:\WinDDK\6000\inc\wdf\kmdf\10

Continue Reading

드라이버 설치, 시동, 중지, 제거

DarkKaiser, 2009년 2월 8일2023년 9월 4일

1. 레지스토리 편집기(regedit)에서 HKEY_LOCAL_MACHINE\SYSTEM 경로에 레지스토리를 등록한다.
  1) 직접 수정해서 등록한다.
  2) 서비스 API 함수를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제작하여 등록한다.(Software 드라이버)
  3) inf 파일을 제작하여 등록한다.(Hardware 드라이버)
  4) Setup API를 사용한다.
2. 서비스의 설치 시작 정지 삭제는 나중에 알아보고 일단 EnumService.exe를 사용한다.

Continue Reading

VS2005에서 DDK Build 환경 구축

DarkKaiser, 2009년 2월 8일2023년 9월 6일

isual Studio 2005에서 Driver Code를 빌드하려면 ddkbuild Tool을 이용하면 쉽게 Build가 가능하다.
http://www.osronline.com/article.cfm?article=43

위의 사이트에서 다운로드가 가능(가입필요)
ddkbuild_v72.zip

다운로드한 파일의 압축을 풀면 cmd 파일을 확인 할 수 있는데 이 파일을 DDK가 설치된 폴더에 복사해 넣도록 하자.(D:\WINDDK)

이것으로 기본적인 준비는 끝났다. 이제 실제 Project를 만들어서 Build해보도록 하자.

참고로 WDK는 VisualStudio 6.0에서는

Continue Reading

DDK 설치

DarkKaiser, 2009년 2월 8일2023년 9월 5일
1. 아래의 URL을 통하여 Driver Develop Kit를 다운로드 받는다.
http://www.microsoft.com/whdc/devtools/ddk/default.mspx
다운로드한 DDK ISO 이미지를 이용해서 설치한 후 [내컴퓨터]- [속성] – [고급] – [환경변수]에서
사용자 변수를 추가하도록 한다. 설정 후 재부팅을 해주어야지 적용이 된다.
변수 이름에 대한 것은 아래의 내용을 참고.
For the W2K DDK the environment variable is W2KBASE, and
Continue Reading

static initializer

DarkKaiser, 2009년 2월 7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blog.naver.com/parnx/140054010993

다음은 흔히 싱글턴singleton 패턴에서 애용되는 형태의 코드이다.


public class MySingleton {
   private static final MySingleton INSTANCE = new MySingleton();

   public static MySingleton getInstance() {
       return INSTANCE;
   }

   private MySingleton() {
      // 초기화 작업…
   }

   // …
Continue Reading

유니코드 파일 인코딩 방식 분석 방법

DarkKaiser, 2009년 2월 7일2023년 9월 6일

유니코드 파일 인코딩 방식을 확인하려면 파일의 처음 2 byte ~ 4 byte 를 가져와서 아래의 코드와 비교하시면 됩니다.

Bytes            Encoding Form

00 00 FE FF    UTF-32, big-endian

FF FE 00 00    UTF-32, little-endian

FE FF             UTF-16, big-endian

FF FE             UTF-16, little-endian

EF BB BF        UTF-8

 

메모장에서 “유니코드”로 저장하면 해당

Continue Reading
  • Previous
  • 1
  • 2
  • 3

최신 글

  • AssertJ 소개testCompile ‘org.assertj:assertj-core:3.6.2’ 2017년 9월 14일
  •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3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2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1 2017년 9월 14일

최신 댓글

    카테고리

    • 개인 자료 (1)
      • 일기 (1)
    • 주절주절 (7)
    • 프로그래밍 갤러리 (16)
    • 프로그래밍 언어 (186)
      • Java (29)
      • C/C++/VC++ (114)
      • C# (11)
      • Visual Basic (6)
      • 안드로이드 (9)
      • Objective-C (5)
      • JavaScript (4)
      • JSP/Servlet (2)
      • Python (4)
      • 어셈블러 (1)
    • 개발++ (44)
      • Book (11)
        • Joel On Software (10)
      • 프로젝트 관리 (6)
      • Maven (1)
      • 디버깅 (1)
      • DirectX (1)
      • Silverlight (1)
      • RESTful (1)
      • Hacking (1)
      • WDM (4)
      • VoIP (5)
      • 기타 (1)
    • 개발 도구 (15)
      • eclipse (14)
      • Sublime Text (1)
    • 네트워크 (7)
    • 설치 및 배포 (7)
      • InstallShield (2)
      • NSIS (4)
    • 버전 관리 (9)
      • Git (2)
      • CVS (2)
      • Subversion (5)
    • 데이터베이스 (7)
      • Oracle (3)
      • Sybase (2)
      • MS-SQL (2)
    • 단위테스트 (3)
      • JUnit (1)
      • NUnit (2)
    • 버그추적시스템 (2)
      • mantis (2)
    • 운영체제 (7)
      • Windows (5)
      • 리눅스 (2)
    • WAS (3)
      • WebLogic (3)
    • 디자인패턴 (1)
    •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16)

    태그

    Assert() CImage CVS cvsnt DefaultTraceListener eclipse Generic Git MDI new OSI 7 layer pragma setPoperty snoopspy std::auto_ptr STL STLFit STLPort synchronized TCP/IP Thread UNICODE useBean volatile watch WinSXS XP테마 기하학 날짜 드라이브 디버깅 마스크 버그트래킹시스템 상수 설치프로젝트 스레드 시간 실용주의 자바빈즈 캡쳐 탭 트랜젝션 형변환 후킹 히스토그램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2025 DarkKaiser의 블로그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