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디터에서 문자열 검색

에디터의 편집중인 파일에서 문자열을 찾는 방법은 Ctrl+F키를 누르면 찾기/바꾸기 대화상자를 통하여 할 수 있다.

간단한 문자열을 찾아보고 싶을 때는 다이얼로그를 띄울 필요 없이 점증적 검색을 이용하면 편리하다. 에디터에서 Ctrl+J키를 누르면 워크벤치 아래쪽의 상태바 메시지 표시 영역에 “Incremental File’가 표시되고 점증적 찾기 모드가 되는데, 이 상태에서 찾으려는 문자열을 하나씩 차례로 입력하면서 찾을 수 있다. Ctrl+J 키를 반복적으로 누르면 찾고 있는 문자열의 다음 위치를 계속해서 찾는다. Ctrl+Shift+J 키를 누르면 문자열의 이전 위치로 이동한다.

또 에디터에서 찾고자 하는 문자열을 선택한 다음 Ctrl+K 키를 누르면 선택한 문자열이 나타나는 다음 위치로 이동한다. Ctrl+Shift+K 키를 누르면 이전 위치로 이동한다.

워크스페이스에서의 검색

툴바의 Search …

Read More

스크랩북

코드를 작성하다가 API나 수식을 간단히 테스트해 보고 싶을 때 보통 테스트 클래스를 만들게 되는데, 더 편하고 빠른 방법이 있다. 바로 스크랩북을 이용하는 것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메뉴바에서 File>New>Other를 선택한 다음 New 다이얼로그에서 Java>Java Run/Debug>Scrapbook page를 선택하면 스크랩북 페이지를 띄울 수 있는데, 여기서 간단한 코드를 입력하여 테스트할 수 있다.

 

스크랩북에 코드를 입력한 다음 코드를 선택하고 Ctrl+Shift+D를 누르면 결과가 스크랩북에 표시된다. 코드를 선택한 상태에서 Ctrl+Shift+I를 누르면 팝업에 결과가 표시된다.

 

스크랩북에서 코드를 작성하다 보면 특정 클래스를 사용하기 위해 패키지를 import할 필요가 있는 경우가 있다. 이럴 때는 컨텍스트 메뉴의 Set Imports를 이용하면 된다.javadoc

메뉴바의 Project>Generate Jovadoc 메뉴나 File>Export를 선택한 후 다이얼로그에서 Javadoc을 선택하면

Read More

에디터 기본 사용자 인터페이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에디터의 맨 왼쪽에는 마커바(marker bar)가 있는데 여기에 컴파일 에러, 경고, 북마크, 태스크, 오버라이드(override)된 메서드 등에 대한 아이콘이 표시된다. 현재 선택된 코드 블럭 영역은 마커바 상에서 진하게 표시된다. 컴파일 에러나 경고는 마커바에 표시도리 뿐만 아니라 에디터에도 표시된다. 컴파일 에러가 있는 곳에는 빨간색 밑줄이, 경고가 있는 곳에는 노란색 밑줄이 표시된다.

 

마커바의 바로 오른쪽 옆에 Quick diff ruler가 있어 가장 최근의 저장 상태와 다른 부분을 표시해 준다. 파일을 저장하면 표시가 없어지고, 편집하면 다시 나타나고 있다. 파일을 저장하기 전에 수정한 부분을 확인하는 데 사용할 수 있다.

 

Quick diff ruler 바로 옆에는 코드를 펼치고 접을 수 있는 아이콘을 표시하는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