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 page import="java.sql.*"%> <%@ page import="javax.sql.*"%> <%@ page import="javax.naming.*"%> <title>사용자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테이블 보기</title> <h3> <% Context ctx = null; DataSource ds = null; Connection co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sql = "select * from tab"; try { ctx = new InitialContext(); ds = (javax.sql.DataSource)ctx.lookup("ora9"); /* JNDI 명 */ con = ds.getConnection(); con.setAutoCommit(false); stmt = con.createStatement(); rs = stmt.executeQuery(sql); while (rs.next()) { out.println(rs.getString(1) + " " + rs.getString(2)); } } catch (Exception e) { out.println(e.toString()); } finally { if (rs != null) { try { rs.close(); }…
[카테고리:] WebLogic
서버 이름이 myserver이고 웹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이름이 study라고 할 때, JSP 파일이 컴파일 된 클래스 파일이 위치하는 곳은 \mydomain\myserver\.wlnotdelete\extract\myserver_study_web\jsp_servlet\ 에 위치한다.
만약 JSP 파일의 중간 생성 파일(.java)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웹로직에서 설정을 잡아주어야 한다.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선택하고 나서 구성>디스크립터 페이지에서 아래 JSP 생성 유지의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중간 생성 파일도 가튼 디렉토리에서 생성된다.
startWebLogic.cmd 파일내에 있는 환경변수 중에서 PRODUCTION_MODE 값을 false로 설정해야지만 서블릿이나 JSP가 수정되었을 때 자동으로 수정된 값을 적용할 수 있게 된다. PRODUCTION_MODE 값을 지정하지 않게 되면, 서블릿이나 JSP가 변경되었을 경우 웹로직 서버를 재시작 할 경우에만 변경된 내용이 적용된다. 따라서 개발할 때에는 PRODUCTION_MODE 값을 false로 하고, 개발이 완료되는 시점에서 PRODUCTION_MODE 값을 true로 지정하는 것이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