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테스트 코드의 디버깅이 필요한 부분에 중단점을 설정한다.
2. NUnit을 실행시킨다.
3. VisualStudio.NET 메뉴의 디버그>프로세스를 선택한다.
4. 사용 가능한 프로세스 목록에서 nunit 프로세스를 찾아 선택한 후 [연결] 버튼을 누르면 “프로세스에 연결” 대화상자가 나타난다.
5. CLR 디버거를 선택하고 [확인] 버튼을 누르면, 프로세스 대화상자의 디버깅된 프로세스 목록에 nunit 이 보인다.
6. 프로세스 대화상자의 제일 밑에 있는 ‘디버깅이 중지도리 때’ 옵션을 선택하고 [닫기] 버튼을 누른다.

이제 NUnit 테스트를 실행해 보자. VisualStudio.NET이 중단점에서 실행을 멈출 것이다.

Read More

설치순서
1. 우선 NUnit을 다운로드 받아서 설치한다.
2. 그 다음으로 단위 테스트용 클래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를 생성하도록 한다. 클래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로 생성하는 이유는 테스트용 코드가 최종 제품에 실수로 포함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3. NUnit을 사용하기 위해서 nunit.framework 어셈블리에 대한 참조를 테스트 프로젝트내에 추가한다.
4. 테스트 메서드를 작성해서 컴파일한다.

using NUnit.Framework;
namespace ClassLibrary1
{
    [TestFixture]
    public class Class1
    {
        [Test]
        public void TestDown()
        {
            Assert.AreEqual(1, 1);
        }
        [Test]
        public void TestDown2()
        {
            Assert.AreEqual(1, 1);
        }

        /* 예외 단위 테스트 */ 
        [Test]
        [ExpectedException("exceptionName")]
        public void TestDown3()
        {
            /* ..... */ 
        }
    }
}

5. 컴파일 후 생성된 dll 어셈블리 파일을 이용하여 단위 테스트를 …

Read More

‘단위 테스트’는 테스트 대상이 되는 코드 기능의 아주 작은 특정 영역을 실행해 보는, 개발자가 작성한 코드 조각이다. 대개 단위 테스트는 특정 상황에서 특정메서드를 시험해 본다.

단위 테스트는 어떤 코드 조각이 개발자가 생각한 대로 동작하는지 증명하기 위해 수행하는 것이다.

  • 테스트의 6가지 영역
    1. 결과가 옳은가?
      우선 분명하게 테스트해야 할 영역은 바로 예상한 결과가 옳은지 살표보는 것, 즉 결과의 유효성 검사를 하는 것이다.
    2. 모든 경계 조건이 CORRECT한가?
      1. 형식 일치(Conformance) – 값의 형식이 기대한 형식과 일치하는가?
      2. 순서(Ordering) – 적절히 순서대로 되어 있거나 그렇지 않은 값인가?
      3. 범위(Range) – 적당한 최소값과 최대값 사이에 있는 값인가?
      4. 참조(Reference) – 코드가 자기가 직접 제어하지 않는 외부 코드를 참조하는가?
      5. 존재성(Existence)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