출처 : http://kdarkdev.tistory.com/37

이클립스의 기본 Properties Editor는 한글로 바로 표현이 안되고 유니코드로 표현되므로 유니코드를 한글로 인식시킬수있는 플러그인이 필요합니다.

테스트는 이클립스 3.7.2에서 했으며 이전에 사용하던 3.4, 3.5에서도 이상없이 동작 했습니다.

*** 이클립스 3.5 이하

1. 이클립스 메뉴의 Help->Install New Software 클릭

2. 상단의 Add버튼 클릭후 Name에는 아무이름이나 정하고 Location에는

http://propedit.sourceforge.jp/eclipse/updates 입력하고 OK 클릭

3. 목록에 Pending이라는 글이 뜨고 잠시 기다리면 저장소에서 검색된 목록이 뜨는데

목록중 가장하단의 PropertiesEditor에 체크하고 next누르고 다음단계에서도 Next누르면서 설치.

*** 이클립스 3.6 이상

만약 이클립스 3.6이상을 사용중이라면 이클립스 marketplace를 이용하면 더 편하게 설치 할 수 있는데

방법은 이 블로그의 http://kdarkdev.tistory.com/36에서 find항목의 검색어만 변경하면 되고 검색어는 properties editor

Read More

– 현재 라인 강조

현재 커서가 있는 라인을 강조하고 싶으면 사용자 설정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highlight_line”: true

– 코드 ‘접기’ 화살표 보이기

기본적으로 코드를 접는 화살표는 마우스를 대지 않으면 사라지게 되어있다. 접기나 펴기를 하고 싶을 때 마우스를 대기 전까지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므로 사라지지 않게 해놓는 것이 접기/펴기를 많이 쓰는 사용자에게는 좋다.
“fade_fold_buttons”: false

– 수정된 탭 강조

내용을 수정했을 때는 기본적으로 닫기(x)버튼이 수정중(o)으로 바뀔 뿐 색깔은 똑같다. 이를 좀 더 강조하기 위해서 사용자 설정에 다음과 같이 추가를 해주면 된다.
“highlight_modified_tabs”: true
Read More

큰 프로젝트를 개발하다보니 이클립스 콘솔에 출력되는 수많은 로그를 뒤지는 것도 보통 일이 아니었습니다. 개발과정에서는 디버깅을 위해 로그레벨을 높여서 사용하므로 엄청난 양의 로그가 출력되고 그 중에서 필요한 부분을 찾으려면 수없이 스크롤하고 텍스트 검색을 해야했습니다. 더군다나 로그메시지는 자세히 보지 않으면 비슷비슷해 보이기 때문에 집중해서 보지 않으면 찾기도 쉽지 않았습니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다 똑같이 출력되니까 로그 메시지 뒤지는데도 상당한 시간이 소비되었는데 얼마전에 콘솔의 메시지를 종류별로 다양한 색으로 보여주는 플러그인이 있다는 걸 알게되었습니다. Logback 을 쓴다면 사용할 수 있는 Logback Console Plugin for Eclipse 도 있었지만 좀더 범용적으로 쓸 수 있는 Grep Console 을 선택했습니다. 이클립스를 Indigo(3.7)버전을 쓴다면 이클립스 마켓플레이스에서 존재하므로 바로 설치할

Read More

1. 통합빌드 서버의 기본 인코딩을 UTF-8로 설정.
우분투를 통합빌드 서버로 쓴다면 기본이 UTF-8이니 별 문제는 없겠다.

2. 빌드 서버에 접속할 telnet/ssh 터미널 프로그램에서 UTF-8 사용.
옛날 터미널 중에는 UTF-8을 미지원 하는 게 많은 것 같다. 찾아본 결과 UTF-8을 지원하는 터미널은 다음과 같다.
* PuTTY
설정의 Window > Translation 으로 들어가서
Received data assumed to be in which character set 옵션을 UTF-8 로 변경.
PuTTY 다운로드 : http://www.chiark.greenend.org.uk/~sgtatham/putty/download.html
* TeraTerm (4.60 이후 버전)
Setup > General… > Language 에 Korean 설정.
Setup > Terminal… 으로 들어가서 아래 쪽에 locale: korean / CodePage: 949 입력.
TeraTerm 다운로드 : http://en.sourceforge.jp/projects/ttssh2/releases/

3. 이클립스 기본

Read More

출처 : http://entireboy.egloos.com/3883873

Eclipse를 처음 받아서 실행하면 “JVM terminated. Exit code=-1″이라는 메시지와 함께 아래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면서 실행이 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예전에는 안 그랬던 것 같은데 Eclipse Europa(3.3, 유로파) 버전즈음해서 이런 경우가 생긴 것 같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경우 Eclipse 폴더에 있는 “eclipse.ini” 파일의 설정을 바꿔주면 된다. 예전에 찾아봤을 때는 다음 굵은 글씨의 최대 메모리 사이즈를 “128M”로 변경하거나 그 필드 자체(굵은 글씨 모두)를 삭제하라는 방법이 많았다.

-showsplash
org.eclipse.platform
–launcher.XXMaxPermSize
256M

-vmargs
-Dosgi.requiredJavaVersion=1.5
-Xms40m
-Xmx512m

최근 갑자기 메모리가 부족하다는 오류메시지와 함께 Eclipse가 죽는 일이 많이 발생해서 새 버전인 Eclipse Ganymede(3.4, 개너미드)를 받았다. 하지만 역시 Ganymede도 계속 메모리가 부족하다면서

Read More

이클립스의 기능을 확장해 ?J2EE 웹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필요한 통합 환경을 제공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프로젝트다. WTP에는 HTML, CSS, JSP, XML, ?JavaScript, SQL 등 각종 소스 코드를 편집할 수 있는 에디터뿐 아니라, ?J2EE 네비게이터, 웹 서비스 위저드, 데이터베이스 접속 도구 등 ?J2EE 애플리케이션 개발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도구가 포함되어 있다.

설치
인터넷 브라우저로 WTP 홈페이지(http://eclipse.org/webtools/index.html)에 접속한 다음 왼쪽 메뉴에서 downloads라고 쓰인 곳을 클릭하면 WTP 다운로드 페이지로 갈 수 있다. Latest Downloads 난에서 최신 버전에 대한 링크를 클릭하면 선택한 버전을 다운로드할 수 있는 페이지가 표시되는데, 여기서 WTP를 다운로드할 수 있다. 페이지 중간쯤에 Requirements 난을
Read More

Ant

Ant는 자바 기반의 빌드 도구로, 기능은 make 등의 도구와 비슷하다. 그러나 make는 쉘 기반의 도구로 make 파일을 작성할 때 파일 내에서 셀 명령을 많이 사용하게 되는데, 셀 명령은 OS에 종속적이므로 OS가 바뀌게 되면 make 파일 또한 수정해 주어야 한다. Ant는 빌드 파일의 형식이 XML이고 셀 명령을 사용하는 대신 플랫폼 독립적인 자바 클래스를 사용한다. 따라서 OS가 바뀌더라도 빌드 파일을 수정할 필요가 없다.

Ant를 이용하면 CVS 체크아웃에서부터 컴파일, 테스트, 디플로이까지의 빌드 프로세스를 자동화할 수 있다.

 

Ant 빌드 파일은 XML로 작성되며, 하나의 project 요소를 가진다. project 요소는 target 요소를 포함하고, 각 target 요소는 여러 개의 태스크 요소를 포함한다. 간략하게 구졸르 보면

Read More

Subclipse 설치

Subclipse는 Eclipse 플로그인으로 구현된 SVN 클라이언트 프로그램으로서, Eclipse에 기본으로 탑재되어 있는 CVS와 사용법이 매우 유사하다. Subclipse를 설치하려면 Eclipse의 업데이트 매니저를 이용하는 것이 가장 깔끔하다. 메뉴바에서 Help>Software Updates>Find and Install 항목을 선택하면 다음 그림과 같은 다이얼로그가 뜬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이 다이얼로그의 두 선택 항목 중에 Search for new features to install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누르면 다이얼로그가 아래 그림과 같이 바뀐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여기서 New Remote Site… 버튼을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은 다이얼로그가 뜨는데 그림과 같이 Name과 URL 항목을 채운다.

사용자 삽입 이미지
확인 버튼을 누르면, 아래 그림과 같이 사이트 목록에 새 항목이 생길 것이다. 새로 만든 항목앞의 체크박스에 체크한 후 Finish 버튼을 누르면, 해당 사이트가 제공하는 …

Read M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