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arkKaiser의 블로그
DarkKaiser의 블로그
  • 개발 관련 자료(노션)
  • Raspberry Pi(노션)
  • WD My Cloud(노션)
  • GitHub
DarkKaiser의 블로그

AUTOEXP.dat활용하여STL사용시디버깅조금더쉽게하기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6일

이 후 부터는 VC6 이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에 설치되었다고 가정합니다. 따라서 MSDEV.exe 파일은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Common\MSDev98\Bin” 에 위치하게 됩니다.

VC6의 MSDEV.exe 파일이 있는 폴더에는 AUTOEXP.dat 란 파일이 존재합니다.

AUTOEXP.dat 파일은 툴팁에서나 디버그 Watch 창에서 해당 변수의 내용을 어떻게 표시할 지를 사용자가 결정할 수 있게 해줍니다.

간단하게 예를 들어서 MFC의 CPoint 형 변수를 디버그 Watch 창에 추가하면 오른쪽에 결과로 “{x=100 y=200}” 과 같은 형식으로 표시가 됩니다. 또는 디버깅 시 해당 변수위에 마우스 커서를 올려놓고 잠시 기다리면 나오는 툴팁에서도 똑같은 결과가 표시됩니다.

AUTOEXP.dat 파일을 열어보면 기본적으로 ” CPoint =x=<x> y=<y> ” 라는 아이템이 있습니다. 즉 CPoint 형 변수는 그 구조체(클래스)의 멤버변수인 x, y 를 각각 x=<x> y=<y>의 식으로 표시하라는 의미입니다. (재미있게도 CSize 에 대해서는 기본적으로 확장이 정의되어 있지 않습니다. CSize 형의 데이터를 watch 창에 추가한 경우에는 왼쪽의 + 마크를 클릭하여 트리를 확장하여 멤버를 직접 접근함으로써 CSize에 저장된 내용을 볼 수 있습니다.)

다음과 같은 내용을 추가함으로써 STL 사용 시 디버깅이 조금 더 수월해질 수 있습니다.

1) 우선 다음 내용의 부분을 찾아서 주석 처리합니다.

std::basic_string<*>=<_Ptr>

을

; std::basic_string<*>=<_Ptr>

2) 다음의 내용을 AUTOEXEC.dat 파일의 끝에 추가합니다.

;STL
std::basic_string<*>=strlen=<_Len,d> string=<_Ptr,st>
std::basic_stringstream<*>=strlen=<_Sb.str()._Len,d> strbuf=<_Sb._Pbeg,st>
std::basic_ostringstream<*>=strlen=<_Sb.str()._Len,d> strbuf=<_Sb._Pbeg,st>
std::basic_istringstream<*>=strlen=<_Sb.str()._Len,d> strbuf=<_Sb._Pbeg,st>
std::vector<*>=size=<size(),d> begin=<_First,x> <_First[0]> <_First[1]> <_First[2]> <_First[3]> <_First[4]> <_First[5]> <_First[6]> <_First[7]> <_First[8]> <_First[9]>
std::set<*>=size=<size(),d>
std::list<*>=size=<size(),d>
std::map<*>=size=<size(),d>
std::deque<*>=size=<size(),d>
std::queue<*>=size=<size(),d>

; STLPort
_STL::basic_string<*>=strlen=<size(),d> string=<_M_start,st>
_STL::basic_stringstream<*>=strlen=<_M_buf._M_str.size(),d> strbuf=<_M_buf._M_str._M_start,st>
_STL::basic_ostringstream<*>=strlen=<_M_buf._M_str.size(),d> strbuf=<_M_buf._M_str._M_start,st>
_STL::basic_istringstream<*>=strlen=<_M_buf._M_str.size(),d> strbuf=<_M_buf._M_str._M_start,st>
_STL::vector<*>=size=<size(),d> begin=<_M_start,x> <_M_start[0]> <_M_start[1]> <_M_start[2]> <_M_start[3]> <_M_start[4]> <_M_start[5]> <_M_start[6]> <_M_start[7]> <_M_start[8]> <_M_start[9]>

_STL::set<*>=size=<size(),d>
_STL::list<*>=size=<size(),d>
_STL::map<*>=size=<size(),d>
_STL::deque<*>=size=<size(),d>
_STL::queue<*>=size=<size(),d>
_STL::_DBG_iter<*>=<_M_iterator,x>

; Jae
tagSIZE =cx=<cx> cy=<cy>

[ExecutionControl]
CString::CString=NoStepInto
CString::~CString=NoStepInto
CString::operator==NoStepInto
operator new=NoStepInto

; STL
std::*=NoStepInto

; STLP
_STL::*=NoStepInto

마지막의 ExecutionControl 섹션은 “Step Into (F11)” 명령 시 해당 소스로 들어가는 것을 금지시킬 수 있는 기능입니다. 일반적으로 CString 생성자/소멸자나 대입 연산자의 정의로 step into 할 필요성이 별로 없습니다. 마찬가지로 STL의 소스로 step into 하는 것도 커다란 의미가 없다고 생각합니다. STL의 소스로 step into 하기를 원한다면 해당 사항을 적절하게 제거또는 수정하시면 됩니다.

C/C++/VC++ STLAutoExp.dat디버깅

글 내비게이션

Previous post
Next post

답글 남기기 응답 취소

이메일 주소는 공개되지 않습니다. 필수 필드는 *로 표시됩니다

최신 글

  • AssertJ 소개testCompile ‘org.assertj:assertj-core:3.6.2’ 2017년 9월 14일
  •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3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2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1 2017년 9월 14일

최신 댓글

    카테고리

    • 개인 자료 (1)
      • 일기 (1)
    • 주절주절 (7)
    • 프로그래밍 갤러리 (16)
    • 프로그래밍 언어 (186)
      • Java (29)
      • C/C++/VC++ (114)
      • C# (11)
      • Visual Basic (6)
      • 안드로이드 (9)
      • Objective-C (5)
      • JavaScript (4)
      • JSP/Servlet (2)
      • Python (4)
      • 어셈블러 (1)
    • 개발++ (44)
      • Book (11)
        • Joel On Software (10)
      • 프로젝트 관리 (6)
      • Maven (1)
      • 디버깅 (1)
      • DirectX (1)
      • Silverlight (1)
      • RESTful (1)
      • Hacking (1)
      • WDM (4)
      • VoIP (5)
      • 기타 (1)
    • 개발 도구 (15)
      • eclipse (14)
      • Sublime Text (1)
    • 네트워크 (7)
    • 설치 및 배포 (7)
      • InstallShield (2)
      • NSIS (4)
    • 버전 관리 (9)
      • Git (2)
      • CVS (2)
      • Subversion (5)
    • 데이터베이스 (7)
      • Oracle (3)
      • Sybase (2)
      • MS-SQL (2)
    • 단위테스트 (3)
      • JUnit (1)
      • NUnit (2)
    • 버그추적시스템 (2)
      • mantis (2)
    • 운영체제 (7)
      • Windows (5)
      • 리눅스 (2)
    • WAS (3)
      • WebLogic (3)
    • 디자인패턴 (1)
    •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16)

    태그

    ArrayList ATL BMP CAB CAB 파일 CD-ROM COM DCOM Downcasting for each GetLastError() Java JDT JoelOnSoftware Lokbok netsh NUnit Python StringBuilder Subverion SVN TR1 unicows Upcasting WAVE weak_ptr WebClient Wrap 내장 객체 레이아웃 리소스 리팩토링 마우스 문자 스트림 바이트 스트림 배포 비스타 빌드 서브클래싱 스트림 시스템 에러메시지 오피스파일구별 임시파일 지역클래스 타입 라이브러리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2025 DarkKaiser의 블로그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