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st] weak_ptr DarkKaiser, 2015년 3월 20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sweeper.egloos.com/3059940 1. shared_ptr shared_ptr의 내용은 다음 링크를 참고하기 바라며, 특히 3-9 Circular reference 챕터를 자세히 읽어보기 바란다.(위 링크엔 shared_ptr의 circular reference에 대한 예제가 포함되어 있다) 2. weak_ptr shared_ptr은 자신이 참조하고 있는 객체(메모리 주소)에 대해 reference counting을 함으로써, 객체의 수명에 직접적으로 관여한다. shared_ptr 객체 Continue Reading
[boost] shared_ptr DarkKaiser, 2015년 3월 20일2023년 9월 6일 1. auto_ptr TR1이 발표되기 전까지 std::auto_ptr이 C++ Standara library의 유일한 스마트 포인터였다. 스마트 포인터의 기본적인 특성인 자신이 소멸될 때 가리키고 있는 대상에 대해 자동으로 delete 해줘 메모리 누수 걱정은 없게 작성이 되어 있다. 하지만, auto_ptr은 유일 소유권 개념이 있어서, 객체가 복사되는 순간(복사생성 또는 대입연산) 원래의 auto_ptr은 바로 NULL 처리가 되어 버린다. Continue Reading
이클립스 Properties Editor 한글 사용 (eclipse 3.7.2) DarkKaiser, 2015년 3월 20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kdarkdev.tistory.com/37 이클립스의 기본 Properties Editor는 한글로 바로 표현이 안되고 유니코드로 표현되므로 유니코드를 한글로 인식시킬수있는 플러그인이 필요합니다. 테스트는 이클립스 3.7.2에서 했으며 이전에 사용하던 3.4, 3.5에서도 이상 없이 동작 했습니다. *** 이클립스 3.5 이하 1. 이클립스 메뉴의 Help->Install New Software 클릭 2. 상단의 Add버튼 클릭후 Name에는 아무이름이나 정하고 Location에는 http://propedit.sourceforge.jp/eclipse/updates Continue Reading
RESTful이란 무엇인가? DarkKaiser, 2015년 2월 2일2023년 9월 3일 출처 : http://blog.remotty.com/blog/2014/01/28/lets-study-rest/ 이 글에서는 REST(Representational State Transfer)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머리말 URI 설계하기 소문자를 사용하자 하이픈을 사용하자 확장자를 사용하지 말자 CRUD는 URI에 사용하면 안된다 컬렉션과 도큐먼트 HTTP Method의 알맞은 역할 반응형 웹에서의 REST I18n과 REST 응답 상태 코드 성공 200 201 202 204 실패 400 401 403 404 Continue Reading
Sublime Text DarkKaiser, 2015년 1월 21일2023년 9월 3일 – 현재 라인 강조 현재 커서가 있는 라인을 강조하고 싶으면 사용자 설정에 다음과 같이 입력하면 된다. “highlight_line”: true – 코드 ‘접기’ 화살표 보이기 기본적으로 코드를 접는 화살표는 마우스를 대지 않으면 사라지게 되어있다. 접기나 펴기를 하고 싶을 때 마우스를 대기 전까지 어디에 있는지 정확히 알지 못하므로 사라지지 않게 해놓는 것이 접기/펴기를 Continue Reading
크롬에서 에이전트 변경하기(User-Agent Switcher for Chrome) DarkKaiser, 2015년 1월 14일2023년 9월 6일 데스크탑에서 모바일 웹을 테스트 하려면.. UserAgent 를 변경해줘야 하는데, 크롬에는 쉽게 사용할 수 있는 플러그인이 있다!!!! User-Agent Switcher for Chrome Continue Reading
자바 예외처리 DarkKaiser, 2015년 1월 7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hiddenviewer.tistory.com/103 예외처리는 객체지향 프로그래밍을 지원하는 언어에서 에러를 처리하기 위한 메커니즘이다. 전통적인 절차지향 언어에서는 함수의 반환값을 통해 에러 유무를 판단하였다. 매번 반환값을 검사하는 작업은 상당히 번거롭고, 그 반환값의 의미 또한 프로그래머가 인지하기 어려운 형태여서 에러처리가 불편하였다. 반면 예외처리 방식은 예외가 발생하면 그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고, 제어 흐름 Continue Reading
Java 예외(Exception) 처리에 대한 작은 생각 DarkKaiser, 2015년 1월 7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www.nextree.co.kr/p3239/ 일상생활에서도 기본적인 것은 고민하지 않고 습관처럼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 초급 개발자인 나에게 ‘예외(Exception)’이 바로 그런 것이었다. 처음 JAVA수업 때 강사님께 “왜 로직을 try문으로 감싸고, 또 catch(e)는 무엇인가요?”라는 질문을 한 적이 있다. 돌아온 대답은 “이렇게 안하면 에러가 나니까.”였다. 나는 이것을 안 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 언제 어떻게 사용해야 Continue Reading
어노테이션 사용하기 DarkKaiser, 2015년 1월 7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hiddenviewer.tistory.com/96 Annotation을 실제로 사용하는 예제를 알아보자. 첫번째 예제는 UseCase라는 어노테이션을 정의한다. 이 어노테이션은 id와 description이라는 값을 멤버로 갖으며 각각 기능번호와 기능에 대한설명을 나타낸다. Password 검사와 관련된 클래스에스는 각 메소드에 UseCase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메서드들이 어떤 유스케이스를 구현하고 있는지를 표시한다.나중에 모든 유스케이스를 구현하는 모든 메소드들이 잘 구현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해 UseCaseTracker Continue Reading
어노테이션(Annotation) DarkKaiser, 2015년 1월 7일2023년 9월 5일 출처 : http://hiddenviewer.tistory.com/88 프로그래밍을 하면서 @Override 와 @Test와 같은 어노테이션들을 많이 사용했지만, 그 중요성이나 의미를 깊이 있게 생각해보지는 못했었다. 단순히 컴파일러에게 알려주기 위한 표식정도로 생각했었다. 그런데 Spring Roo 와 Spring3.0 과 같은 최신 프레임웍들의 변화 경향을 보면, 어노테이션을 적극활용하는 쪽으로 변화되고 있다. 어노테이션을 사용하여 코드의 작성량도 한결 줄어들었다고 한다. 어노테이션들의 Continue Read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