춮처 : http://blog.naver.com/websearch/70057102458
DTMF ( Dual-tone mulit-frequency ) 의 각 번호별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아래와 같다.
DTMF
1 = 697 Hz & 1209
Hz
DTMF 2 = 697 Hz & 1336 Hz
DTMF 3 = 697 Hz & 1477 Hz
DTMF 4 = 770 Hz & 1209 Hz
DTMF 5 = 770 Hz & 1336 Hz
DTMF 6 = 770 Hz & 1477 Hz
DTMF 7 = 852 Hz & 1209 Hz
DTMF 8 = 852 Hz & 1336 Hz
DTMF 9 = 852 Hz & 1477 Hz
DTMF 0 = 941 Hz & 1336 Hz
DTMF
* = 941 Hz & 1209
Hz
DTMF
# = 941 Hz & 1477
Hz
DTMF busy
signal = 480 Hz & 620
Hz
DTMF dial
tone = 350 Hz & 440
Hz
DTMF ringback tone
(US) = 440 Hz & 480 Hz
링크를 클릭하면 해당 DTMF 를 녹음한 mp3 파일을 다운로드하실 수
있습니다.
——————————————————————————————————————
내용출처 : http://www.nexpert.net/148
간단히 SIP를 통한 DTMF 전송 방식만 정리하겠습니다.
1. Out of band
– Signaling를 이용, DTMF DURATION에 대한 정보가 없으므로, 사용자가 Digit를 길게 또는 짧게 누르는 것을 표현할 수 있다.
– SIP INFO가 대표적
2. Inband
2.1 Bypass방식
– Digit를 RTP가 사용하는 코덱으로 압축해서 음성과 같이 보낸다. 압축 코덱을 사용할 경우(G.711이 아닌 G.729등) DTMF tone이 변형되거나 손실될 가능성은 있다.
2.2 RFC 2833 방식
– RTP 패킷에 DTMF의 번호와 볼륨, duration이 명시되어 전송됨. DTMF 정보 손실될 가능성은 거의 없으나, 패킷이 유실될 수 있으므로 하나의 digit를 여러번 전송하여 정보 손실 가능성을 낮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