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arkKaiser의 블로그
DarkKaiser의 블로그
  • 개발 관련 자료(노션)
  • Raspberry Pi(노션)
  • WD My Cloud(노션)
  • GitHub
DarkKaiser의 블로그

[년도:] 2009년

현재 설정 가능한 인코딩 확인 방법

DarkKaiser, 2009년 10월 29일2023년 8월 30일

출처 : http://www.voiceportal.co.kr/795

 
1. 현재 설정된 인코딩 설정 확인
echo $LANG
2. 인코딩 설정 해제 방법
unset LANG
LANG=C
3. 현재 시스템에서 설정 가능한 인코딩 확인 방법
locale -a | grep ko
Continue Reading

[SIP] Call Forking 이란?

DarkKaiser, 2009년 9월 27일2023년 9월 3일

출처 : http://blog.naver.com/websearch/70043618853

Call Forking 은 하나의 전화번호로 전화를 호출하여서 여러 개의 전화기에 전화벨을 울려주는 기능을 의미합니다.

Call Forking SIP Flow 는 Cisco Unified Communications Manager SIP Line Messaging Guide(Standard) 에 아래와 같이 잘 그려져 있더군요.
아래의 그림에서 (d2)[3], (d3)[4] 가 Call Forking 하는 기능을 잘 표현해 주고 있습니다. 하나의

Continue Reading

G 계열 코덱 비교 (G.711,G.722,G.723,G.726,G.728,G.729)

DarkKaiser, 2009년 9월 27일2023년 9월 3일

출처 : http://blog.naver.com/websearch/70044938826

코덱 종류

알고리즘(압축방식)

속도 Bit
rate(BW)

encoding
time

MOS

설명

 G.711  PCM  64 Kbps  10 ms  4.1  PSTN 통화 품질
 G.726  ADPCM  16K, 24K, 32K  10 ms  3.85  BW 크면 품질 좋음
 G.722  SB-ADPCM  64 Kbps      멀티미디어 음성 회의. AM 방송 품질
 G.723  MLQ  6.3
Continue Reading

Microsoft Visual C++ 2005 & 2008 재배포 가능 패키지 다운로드 페이지…

DarkKaiser, 2009년 9월 27일2023년 9월 4일
Microsoft Visual C++ 2005 재배포 가능 패키지(x86)
Microsoft Visual C++ 2005 재배포 가능 패키지(x64)
Microsoft Visual C++ 2005 SP1 재배포 가능 패키지(x86)
Microsoft Visual C++ 2005 SP1 재배포 가능 패키지(x64)
Microsoft Visual C++ 2008 재배포 가능 패키지(x86)
Microsoft Visual C++ 2008 재배포 가능 패키지(x64)
Microsoft Visual C++ 2008 SP1 재배포
Continue Reading

[문자인코딩] 유니코드, UTF-8, UTF-16, UTF-32 간단 정리 Application

DarkKaiser, 2009년 9월 27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ggaman.com/tt/896

유니코드란?

unicode는 모든 문자에 index를 줘 놓은 것이다. 더 이상도 아니고, 더 이하도 아니다.
이 index를 code point라고 부르는데, 그냥 index라고 칭하도록 하자.

‘A’라는 글자는 0x0041 이라는 index를 가진다.
‘a’라는 글자는 0x0061 이라는 index를 가진다.
‘가’라는 글자는 0xac00 이라는 index를 가진다.
( 더 많은 글자와 index를 보려면

Continue Reading

SIP 응답 목록

DarkKaiser, 2009년 9월 22일2023년 9월 3일

모든 SIP 응답의 목록

1xx = 정보용 응답

  • 100 시도 중
  • 180 전화 벨 울림
  • 181 통화 전달 중
  • 182 대기 중
  • 183 세션 진행

2xx = 성공 응답

  • 200 확인
  • 202 수락: 참조용으로 사용

3xx = 경로 변경 응답

  • 300 복수 선택
  • 301 영구 이동
  • 302 임시 이동
  • 305
Continue Reading

DTMF (Dual-tone multi-frequency)

DarkKaiser, 2009년 9월 21일2023년 9월 4일

춮처 : http://blog.naver.com/websearch/70057102458

DTMF ( Dual-tone mulit-frequency ) 의 각 번호별로
사용되는 주파수는 아래와 같다.

DTMF
1
= 697 Hz & 1209
Hz

DTMF 2 = 697 Hz & 1336 Hz
DTMF 3 = 697 Hz & 1477 Hz
DTMF 4 = 770 Hz & 1209 Hz
DTMF 5 =

Continue Reading

비디오 관련 압축표준의 진화

DarkKaiser, 2009년 9월 21일2023년 9월 4일

출처 : http://blog.naver.com/websearch/70066547147

Continue Reading

Visual C++에서 프로젝트 작성시 ‘자동화 서버는 객체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 에러 발생시 해결책..

DarkKaiser, 2009년 9월 17일2023년 9월 6일

출처 : http://esperanca.kr/tag/자동화%20서버는%20개체를%20작성할%20수%20없습니다.

Visual Studio 2003.NET, Visual Studio 9.0 Express Edition 등의 개발환경에서 ‘자동화 서버는 객체를 작성할 수 없습니다.’라는 에러가 프로젝트 작성시 뜨고는 한다.
기본적인 함수와 주석이 포함되어 있는 스크립트인데 간혹 환경이 다른 운영체제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곤 할 때 일어난다.
필자는 XP인데 스크립트 파일이 깔려있지 않아서 문제를 겪었다.
해결책은 다음과 같다.
Continue Reading

ActiveX 서명 과정 자동화

DarkKaiser, 2009년 9월 16일2023년 8월 30일

출처 : http://www.sysnet.pe.kr/Default.aspx?mode=2&sub=0&detail=1&wid=327

ActiveX 서명을 위해서, 보통 사용되어지는 툴이 signcode.exe 이죠. 이 도구를 이용해서 다음과 같은 식의 명령행 인자로 ActiveX 에 대해 서명을 하게 됩니다.

signcode /spc myCertificate.spc /v myKey.pvk myactivex.dll

signcode.exe 에는 한가지 단점이 있지요. 바로 암호를 명령행에서 입력할 수 없고, 반드시 위와 같이 실행한 다음에 나오는 팝업창에 입력을

Continue Reading
  • 1
  • 2
  • 3
  • Next

최신 글

  • AssertJ 소개testCompile ‘org.assertj:assertj-core:3.6.2’ 2017년 9월 14일
  •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3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2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1 2017년 9월 14일

최신 댓글

    카테고리

    • 개인 자료 (1)
      • 일기 (1)
    • 주절주절 (7)
    • 프로그래밍 갤러리 (16)
    • 프로그래밍 언어 (186)
      • Java (29)
      • C/C++/VC++ (114)
      • C# (11)
      • Visual Basic (6)
      • 안드로이드 (9)
      • Objective-C (5)
      • JavaScript (4)
      • JSP/Servlet (2)
      • Python (4)
      • 어셈블러 (1)
    • 개발++ (44)
      • Book (11)
        • Joel On Software (10)
      • 프로젝트 관리 (6)
      • Maven (1)
      • 디버깅 (1)
      • DirectX (1)
      • Silverlight (1)
      • RESTful (1)
      • Hacking (1)
      • WDM (4)
      • VoIP (5)
      • 기타 (1)
    • 개발 도구 (15)
      • eclipse (14)
      • Sublime Text (1)
    • 네트워크 (7)
    • 설치 및 배포 (7)
      • InstallShield (2)
      • NSIS (4)
    • 버전 관리 (9)
      • Git (2)
      • CVS (2)
      • Subversion (5)
    • 데이터베이스 (7)
      • Oracle (3)
      • Sybase (2)
      • MS-SQL (2)
    • 단위테스트 (3)
      • JUnit (1)
      • NUnit (2)
    • 버그추적시스템 (2)
      • mantis (2)
    • 운영체제 (7)
      • Windows (5)
      • 리눅스 (2)
    • WAS (3)
      • WebLogic (3)
    • 디자인패턴 (1)
    •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16)

    태그

    AutoExp.dat CppUnit CreateFile CVS Detours Generic ignore파일 Installer Isolation level LogCat OSI OSI 7 layer PRODUCTION_MODE request RunInstaller Runnable SafeInt session setPoperty startWebLogic.cmd STL synchronized TAB time_t VC Vector VS2005 날짜 디버깅 리치에디트컨트롤 매핑모드 문서화 주석 변환 사설 IP 성능 주석 트랜젝션 트리 프로젝트관리 프로파일러 픽셀 형변환 형식 확장자 히스토그램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2025 DarkKaiser의 블로그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