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 http://research.microsoft.com/sn/detours/
윈도우 API를 후킹할 수 있는 라이브러리
출처 : http://rodream.tistory.com/45
BOOL bRet; HANDLE hToken; HANDLE hNewToken; // Notepad is used as an example WCHAR wszProcessName[MAX_PATH] = L"C:\\Windows\\System32\\Notepad.exe"; // Low integrity SID WCHAR wszIntegritySid[20] = L"S-1-16-4096"; PSID pIntegritySid = NULL; TOKEN_MANDATORY_LABEL TIL = {0}; PROCESS_INFORMATION ProcInfo = {0}; STARTUPINFO StartupInfo = {0}; ULONG ExitCode = 0; if (OpenProcessToken(GetCurrentProcess(),MAXIMUM_ALLOWED,
출처: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51&MAEULNO=20&no=8196&page=1
출처: http://a.tk.co.kr/entry/timet-%EC%99%80-InterlockedExchange-%EC%82%AC%EC%9A%A9%EA%B8%88%EC%A7%80-Visual-Studio-2005-%EB%B3%80%EA%B2%BD
VC6의 time_t가 long형으로 디파인 되어있는데요. VC8에선 요놈이 __int64이더라구요.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VC98\Include\TIME.H #ifndef _TIME_T_DEFINED typedef long time_t; /* time value */ #define _TIME_T_DEFINED /* avoid multiple def's of time_t */ #endif //////////////////////////////////////////////////////////////////////////// c:\program files\microsoft visual studio 8\vc\include\crtdefs.h #ifndef _TIME64_T_DEFINED #if _INTEGRAL_MAX_BITS = 64 typedef __int64 __time64_t;
출처 : http://aego.pe.kr/MFCErrors.html
uuid.lib(servprov_i.obj) : fatal error LNK1103: debugging information corrupt; recompile module
LNK4070
/OUT:filename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filename’; ignoring directive
출처 : http://thepassion.tistory.com/22
출처 : http://www.devpia.com/MAEUL/Contents/Detail.aspx?BoardID=51&MAEULNO=20&no=8187&page=1
제가 볼려고 정리한건데요. (다른분들 글도 인용좀 했는데 출처가 어디였는지;;;;)
잘못 알고 있는거도 있을수 있습니다. 고수님들 잘못된거 답글 부탁드립니다. ㅎ
배포전에 Dependency를 이용 꼭 필요한 파일의 목록을 확인한다.(8버젼 부터는 안먹히기도 하나 그래도 꼭 확인한다)
VC에 있는 Dependency툴은 단일파일로 실행되고 한번만 실행해주면 윈도우 탐색기 컨텍스트 메뉴에 자동으로 View Dependencies를
메신저의 자리비움 기능을 구현하려면 보통 후킹을 이용한다. 하지만 윈도우2000 이상부터는 윈도우에서 이 기능을 API를 통해서 제공해준다. API 이름은 GetLastInputInfo()..
문제는 윈도우2000 이상에서만 사용할 수 있으므로, 동적으로 함수 포인터를 얻어와서 사용할 것. 함수 포인터를 얻기 실패하였을 때(윈9x 계열일 때)는 기존의 후킹 방법으로 하면 되겠다.
출처 : http://aego.pe.kr/AutomateCodeSigning.html#toc1
비스타 운영체제가 실행 가능한 파일 포맷(PE:.exe, .dll, .ocx)들의 코드사이닝을 강제(사용자입장에서 웬지 꺼림칙하게 느끼게)하기 시작하면서 어쩔 수 없이 기존의 배포했던 프로그램의 실행파일을 코드사이닝 처리해야 하게 되었다. 한 두개의 파일 코드사이닝이야 .bat 파일을 만들어서 하거나 아니면 직접 커맨드라인에서 signcode.exe 위저드를 통해서 처리해버려도 되지만 수백개에 달하는 파일을 처리해야 되는 경우라면
출처 : http://codecrue.egloos.com/782885
VisualStudio 2005 에서 컴파일하던중 아래와 같은 에러를 만나서 해결방법을 모색하던중 원인을 알아내어 올립니다.
LINK : ../../Bin/Debug/xxx_d.dll을(를) 찾을 수 없거나 마지막 증분 링크에 의해 빌드되지 않았습니다.
전체 링크를 수행하고 있습니다.
매니페스트를 포함하고 있습니다…
컴파일환경 설정에서 ‘증분 링크 사용’ 에 관한 옵션 설정이 있습니다. 증분링크? 증분링크가 뭘까?
일반적으로 사용되지
참고 : http://support.microsoft.com/default.aspx?sd=msdn&scid=kb;en-us;176792
// URL을 추출합니다. ASSERT(m_spSHWinds != NULL); long nCount = m_spSHWinds-GetCount(); IDispatchPtr spDisp; for (long i = 0; i < nCount; i++) { _variant_t va(i, VT_I4); spDisp = m_spSHWinds-Item(va); SHDocVw::IWebBrowser2Ptr spBrowser(spDisp); if (spBrowser != NULL) m_ctrlUrlList.AddString(spBrowser-GetLocationUR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