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ip to content
DarkKaiser의 블로그
DarkKaiser의 블로그
  • 개발 관련 자료(노션)
  • Raspberry Pi(노션)
  • WD My Cloud(노션)
  • GitHub
DarkKaiser의 블로그

[일:] 2007년 07월 01일

JSP 프리컴파일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2일

프리컴파일(JSP 파일을 미리 컴파일)이라는 기능은 웹에서 HTTP를 이용해서 원하는 JSP 페이지에 대한 컴파일만을 처리할 수 있는 간단하면서도 강력한 방법이다.

Hello.jsp?jsp_precompilation
Hello.jsp?jsp_precompilation=true
Hello.jsp?title=java&jsp_precompilation=true
Continue Reading

데이터소스를 이용한 DB 사용 샘플 예제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6일
<%@ page contentType="text/html; charset=EUC-KR" pageEncoding="EUC-KR"%<%@ page import="java.sql.*"%<%@ page import="javax.sql.*"%<%@ page import="javax.naming.*"%<title사용자자가 가지고 있는 모든 테이블 보기</title<h3<%
 Context ctx = null;
 DataSource ds = null;
 Connection con = null;
 Statement stmt = null;
 ResultSet rs = null;
  
 String sql = "select * from tab";
  
 
Continue Reading

자바빈즈 태그 설명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6일
  • <jsp:useBean/> 태그
    <jsp:useBean id=”자바빈 ID” class=”자바빈 클래스 이름” scope=”scope 영역 지정”/>
    /* 아래 두 문장은 같은 의미이다. */ 
    <jsp:useBean id="customer" class="mybean.customer.CustomerBean"/>
    mybean.customer.CustomerBean = new mybean.customer.CustomerBean();

    만약 자바빈 클래스 파일을 불러오면서 초기화할 내용이 있다면 <jsp:useBean/>을 시작 태그와 종료 태그 형태로 쓴 다음 가운데 초기화할 내용을 적어주면 됩니다.

    <jsp:useBean>
    ... 초기화할 내용 
Continue Reading

프로젝트 폴더 초기화 스크립트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4일

ProjectInitialize.py

Continue Reading

웹로직에서 JSP 파일의 컴파일 결과가 저장되는 폴더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4일

서버 이름이 myserver이고 웹 애플리케이션 모듈의 이름이 study라고 할 때, JSP 파일이 컴파일 된 클래스 파일이 위치하는 곳은 \mydomain\myserver\.wlnotdelete\extract\myserver_study_web\jsp_servlet\ 에 위치한다.

만약 JSP 파일의 중간 생성 파일(.java)을 얻고자 할 경우에는 웹로직에서 설정을 잡아주어야 한다.
해당 웹 애플리케이션 모듈을 선택하고 나서 구성>디스크립터 페이지에서 아래 JSP 생성 유지의 체크박스를 체크하면 중간 생성

Continue Reading

Adding Most Recently Used(MRU)FilestoanSDI/MDI Application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6일

Adding MRU to MFC SDI or MDI is actually not very difficult. I just add ?AddToRecentFileList(LPCTSTR lpszPathName) to ?CDocument derived class which calls the add the path name to ?CWinApp’s ?CRecentFileList (m_pRecentFileList). I use SDI for this demo.

1. Iinclude afxadv.h to stdafx.h. This contains the

Continue Reading

프로젝트에 WindowsXP 테마 스타일 적용하기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6일
윈XP의 화려한 UI를 사용해 보자. 아래를 따라해보자.

1. 우선 여러분의 프로젝트에서 리소스를 새로 추가한다. 이때 “Custom”을 선택하여 리소스 타입에 “24”라고 입력한다.
2. 에디터에 아래의 XML 구문을 복사하여 붙여넣는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assembly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manifestVersion="1.0"<assemblyIdentity 
    processorArchitecture="x86" 
    version="5.1.0.0"
    type="win32"
    name="test.exe"/<descriptionTest Application</description<dependency<dependentAssembly<assemblyIdentity
         type="win32"
         name="Microsoft.Windows.Common-Controls"
         version="6.0.0.0"
         
Continue Reading

언어별 리소스 블럭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4일

한글 리소스 블럭

/////////////////////////////////////////////////////////////////////////////
// Korean resources

#if !defined(AFX_RESOURCE_DLL) || defined(AFX_TARG_KOR)
#ifdef _WIN32
LANGUAGE LANG_KOREAN, SUBLANG_DEFAULT
#pragma code_page(949)
#endif //_WIN32

...

#endif

일본어 리소스 블럭

/////////////////////////////////////////////////////////////////////////////
// Japanese resources

#if !defined(AFX_RESOURCE_DLL) || defined(AFX_TARG_JPN)
#ifdef _WIN32
LANGUAGE LANG_JAPANESE, SUBLANG_DEFAULT
#pragma code_page(932)
#endif //_WIN32

...

#endif

영어 리소스 블럭

/////////////////////////////////////////////////////////////////////////////
// English 
Continue Reading

서브클래싱 컨트롤에 마우스 Hover/Leave 구현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4일

마우스 Hover, Leave를 구현하고자 하는 서브클래싱된 컨트롤의 헤더 파일에 아래의 두 함수를 추가하도록 한다.

//{{AFX_MSG(CHoverButton)
afx_msg LRESULT OnMouseLeave(WPARAM wparam, LPARAM lparam);
afx_msg void OnMouseHover(WPARAM wparam, LPARAM lparam);
//}}AFX_MSG

다음으로 소스파일의 메시지맵에 메시지에 대한 함수를 연결하도록 한다.

BEGIN_MESSAGE_MAP(CHoverButton, CButton)
    ON_MESSAGE(WM_MOUSELEAVE, OnMouseLeave)
    ON_MESSAGE(WM_MOUSEHOVER, OnMouseHover)
END_MESSAGE_MAP()

다음으로 실제 함수를 구현해주면 된다.

void CHoverButton::OnMouseHover(WPARAM 
Continue Reading

MFC 프레임웍 객체간의 통신 흐름

DarkKaiser, 2007년 7월 1일2023년 9월 4일

사용자 삽입 이미지

 

Continue Reading
  • 1
  • 2
  • …
  • 4
  • Next

최신 글

  • AssertJ 소개testCompile ‘org.assertj:assertj-core:3.6.2’ 2017년 9월 14일
  • 자주 사용되는 Lombok 어노테이션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3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2 2017년 9월 14일
  • 유니코드 #1 2017년 9월 14일

최신 댓글

    카테고리

    • 개인 자료 (1)
      • 일기 (1)
    • 주절주절 (7)
    • 프로그래밍 갤러리 (16)
    • 프로그래밍 언어 (186)
      • Java (29)
      • C/C++/VC++ (114)
      • C# (11)
      • Visual Basic (6)
      • 안드로이드 (9)
      • Objective-C (5)
      • JavaScript (4)
      • JSP/Servlet (2)
      • Python (4)
      • 어셈블러 (1)
    • 개발++ (44)
      • Book (11)
        • Joel On Software (10)
      • 프로젝트 관리 (6)
      • Maven (1)
      • 디버깅 (1)
      • DirectX (1)
      • Silverlight (1)
      • RESTful (1)
      • Hacking (1)
      • WDM (4)
      • VoIP (5)
      • 기타 (1)
    • 개발 도구 (15)
      • eclipse (14)
      • Sublime Text (1)
    • 네트워크 (7)
    • 설치 및 배포 (7)
      • InstallShield (2)
      • NSIS (4)
    • 버전 관리 (9)
      • Git (2)
      • CVS (2)
      • Subversion (5)
    • 데이터베이스 (7)
      • Oracle (3)
      • Sybase (2)
      • MS-SQL (2)
    • 단위테스트 (3)
      • JUnit (1)
      • NUnit (2)
    • 버그추적시스템 (2)
      • mantis (2)
    • 운영체제 (7)
      • Windows (5)
      • 리눅스 (2)
    • WAS (3)
      • WebLogic (3)
    • 디자인패턴 (1)
    • 디지털 이미지 프로세싱 (16)

    태그

    Assert() CImage cvsnt DDK DefaultTraceListener delegate eclipse EventLogTraceListener maven MDI MFC MSDN mutable NAnt new pragma RAW snoopspy std::auto_ptr STLFit STLPort STLTask TCP/IP Thread UNICODE useBean VI volatile watch WinSXS XP테마 기하학 데이터소스 드라이브 마스크 문자열 상수 스레드 스레드 동기화 시간 실용주의 실용주의 프로그래머 자바빈즈 툴팁 패킷

    메타

    • 로그인
    • 엔트리 피드
    • 댓글 피드
    • WordPress.org
    ©2025 DarkKaiser의 블로그 | WordPress Theme by SuperbThemes